카테고리 없음

한랭질환 예방법 (+저체온증, 동상, 침수병, 침족병, 동창)

☉☉☉☉☉ 2022. 12. 4. 16:26
반응형

한파가 올 경우 한랭질환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추위와 함께 찾아오는 한랭질환인 저체온증, 동상, 침수병, 침족병, 동창에 대해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1. 한랭질환이란?
2. 한랭질환 종류
 ① 저체온증
 ② 동상
 ③ 침수병·침족병
 ④ 동창
3. 한랭질환 예방 위한 건강수칙
 ① 생활 습관
 ② 실내 환경
 ③ 외출 전
 ④ 외출 시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기 전 한랭질환과 같이 병원에 갈일이 생기는 분들은 미리미리 실손보험 등을 가입하여 병원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실손보험은 건강이 좋던 안좋던 하나쯤은 꼭 들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한랭질환이란?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 되어 저체온증, 동상, 침수병·침족병, 동창 등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겨울철 질병의 종류입니다. 특히 노인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체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러운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합니다.

 

📌 환절기 감기 예방하는 방법 5가지 및 감기에 좋은 음식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합니다.

 

 

  2. 한랭질환 종류

① 저체온증

저체온증은 심부체온(내부 장기나 근육에서의 체온)이 35℃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오한, 피로, 의식 혼미, 기억장애, 언어장애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체온증 환자를 발견했을 경우 환자가 의식이 없다면 우선 119에 신고하고 따뜻한 곳으로 옮겨야 합니다. 젖은 옷을 입고 있다면 옷을 벗기고 침낭으로 감싸주어야 하며 핫팩이나 가열 패드 사용 시 피부 화상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의식이 있는 경우 따뜻한 음료로 몸을 녹이게 해줘야 합니다. 만약 환자가 의식이 없는데 음료를 마시게 하는 건 매우 위험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② 동상

동상은 강한 강한 한파에 노출되어 피부 및 피하조직이 동결하여 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주로 노출 부위(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피부색이 점차 흰색이나 누런 회색으로 변하게 되고, 피부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해지게 됩니다. 또한 피부 감각도 저하되거나 심할 경우 무감각이 됩니다.

 

동상 환자는 최우선으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송 시에는 조식 손상 악화 방지를 위해 다리, 발 동상 환자는 들것으로 운반해야 합니다. 이송후에는 환자를 따뜻한 환경으로 옮긴 뒤 동상 부위를 따뜻한 물(38~42℃)에 20~40분간 담가줍니다. 

 

얼굴, 귀 동상은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주면 되고, 손가락, 발가락 동상은 손/발가락 사이에 마른 거즈를 끼워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동상부위는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해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③ 침수병·침족병

침수병·침족병은 물(10℃ 이하 냉수)에 손과 발을 오래 노출시키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발에 발생합니다. 

 

증상은 처음에는 가렵거나 무감각하고 저린 듯한 통증이 발생하고 점차 증상이 진행되면서 발이 부어 보이며 피부색이 약간 빨갛게 되거나 파란색 혹은 검은색으로 변하니다. 또한 물집이 생기거나 조직 괴사 혹은 피부 궤양이 형성됩니다.

 

침수병·침족병 환자는 우선 젖은 신발, 양말, 장갑은 벗겨서 제거해야 하고,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손상 부위를 따뜻한 물로 조심스럽게 씻긴 후 잘 건조시켜야 합니다.

 

📌 감기와 독감의 차이점

 

④ 동창

동창은 저온(0~10℃) 다습한 상태에서 가벼운 추위에 지속적으로 노출 시 나타나는 피부와 피부조직의 염증반응입니다. 

 

증상으로는 국소부위의 가려움과 따뜻한 곳에서 심해지는 가려움으로 심한 경우 울혈, 물집, 궤양 등이 발생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 대게 별다른 치료 없이 몇 주 내 호전되지만 일부는 약물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동창이 생겼을 경우 동창 부위를 살살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유도하고 따뜻한 물에 언 부위를 담가 서서히 피부를 따뜻하게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동창 부위는 긁으면 안되고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보습해 주면 좋습니다.

 

 

다시한번 이야기 드리지만 한랭질환과 같이 병원에 갈일이 생기는 분들은 미리미리 실손보험 등을 가입하여 병원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실손보험은 건강이 좋던 안좋던 하나쯤은 꼭 들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한랭질환 예방 위한 건강수칙

① 생활 습관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 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② 실내 환경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③ 외출 전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④ 외출 시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면역력 높이는 차 5가지 만드는 방법

그리드형(광고전용)